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rolificinteractive/material-calendarview
- backgroundTint
- DialogFragment
- Dialog
- Button
- podinit
- livedata
- calendar
- addTextChangedListner
- RestAPI
- android
- cocoapod
- viewmodel
- 리눅스
- editText
- springboot
- PostgreSQL
- Today
- Total
목록일단기록 (27)
코코딩딩

안드로이드 앱에서 카카오로 초대메세지와 같은 메세지를 보내는 방법을 검색하면 많은 예제들이 예전api 기능 들을 사용하고 있어 검색하는데 애를 먹었다. 카카오는 문서가 잘 되어 있지만 코틀린으로 작성되어 있어 자바코드로 변환을 하려면 또 검색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많은 안드로이드 자료들이 코틀린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자바로 변환하는 연습도 필요할 것 같다. 카카오 api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들이 있는데 공식 문서에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다. gradle settings.gradle에 주소를 추가해준다. maven { url 'https://devrepo.kakao.com/nexus/content/groups/public/' } build.gradle에 카카오 링크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준다..

사용자의 시간을 입력받기 위해 customdialog에 timepicker를 사용해 작업을 진행하였다. customdialog 레이아웃 만들기 기존에 사용했던 customdialog는 DialogFragment를 상속받아 만들었지만 이번에는 레이아웃 파일만 따로 만들고 다음과 같이 레이아웃 파일을 setContenView를 해주면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dialog를 사용할 수 있다. Dialog dialog = new Dialog(MainActivity.this); dialog.setContentView(R.layout.dialog_time_select_layout); dialog_time_select_layout.xml MainActivity 사용자의 취침 시간과 기상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기능이며 버..
지난주에 생긴 문제를 머리속에서 꺼네서 다시 재현하고 기록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tomcat과 apache를 yum을 통해 설치하는 것은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자신이 디렉토리를 구성해 원하는 경로에 단일이 아닌 다중으로 tomcat을 세팅하는 과정은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각종 설정에 입력해야 할 경로들을 빠짐없이 넣어주어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그 구조를 완벽하게 파악하지 못해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 지금 기록하는 것은 특정경로로 지정하지 않고 설치하는 방법을 일단 기록하고 추후에 경로를 바꿔서 설치하는 것을 기록하려고 한다. tomcat 압축 풀기 인터넷에서 검색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버전의 tomcat의 tar.gz파일을 받아 /usr/local/l..
어제 하루 일정 때문에 포스팅을 못 했기 때문에 짤막하게 추가적으로 tomcat의 service 등록하는 방법을 기록하고자 한다. tomcat을 서비스등록 하지 않으면 시스템이 문제가 생겨 다시시작 되었을 때 일일히 tomcat을 수동으로 켜주어야 하는데 이를 자동화 할 수 있다. tomcat.service 파일 생성 cd /etc/systemd/system vi /etc/systemd/system/tomcat.service 검색을 통해 알게된 많은 방법들은 vi 편집기를 이용해 service 파일을 생성하고 편집하지만 오타등을 방지하기 위해filezilla를 이용해 파일을 밀어 넣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Unit] Description=tomcat 9 After=network.target sysl..
매일기록을 하고 싶었지만 어제 설치를 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해 완벽하게 진행할 수 있는 postgresql 설치를 늦게나마 정리하고자 한다. 그렇게 어렵지 않은 작업이었지만 운영환경을 yum의 기본 경로 로 사용하지 않고 기본 경로를 변경해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을 진행해야 했다. yum postgresql 설치하기 (원하는 버전) postgresql을 리눅스(Centos 7)에 설치하는 방법은 공식페이지에 있는 방법을 사용한다. 요구 사항인 12버전을 설치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https://www.postgresql.org/download/linux/redhat/ # Install the repository RPM: sudo yum install -y https://downl..
어제 사전에 미리 조사한 내용들은 Ubuntu 기준으로 조사를 했지만 실제로 해보려고 하니 놀랍게도 Ubuntu가 아니였다. 그래서 apt가 아니라 yum으로 파일들을 설치해야 했고 각종 문제상황을 겪으면서 진행을 하고 있다. 처음진행 하는 작업이었지만 어제 조사를 한게 도움이 되서 크게 낯설지는 않았다. JDK 설치 1. yum 으로 JAVA 설치하기 가장먼저 java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 결과 설치되어 있지 않아 java를 설치하는 것 부터 시작했다. yum list java*jdk-devel 를 입력하면 설치가능한 자바 버전을 볼 수 있다. uname -a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 해 알맞는 자바를 설치해준다. 2. 정상설치 확인하기 설치를 한 이후 java-version을 입력해 정..
리눅스(Ubuntu)에 tomcat을 설치해야 하는 미션이 주어져 오늘은 리눅스에 tomcat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모아서 정리해보고 내일 직접 설치할 예정이다. * 알아야 될 정보 1) 리눅스 명령어 : 리눅스는 윈도우와 다르게 CLI 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2) 설치할 tomcat 버전 : apache-tomcat-9.0.52.tar.gz (리눅스용) 3) filezilla : 사용할 ftp 프로그램 4) putty : SSH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며 무료로 사용가능한 대중적인 프로그램이다. 5) postgresql : 사용할 db, 리눅스에 설치하는 방법 리눅스 명령어 - pwd : 지금 작업중인 디렉토리가 표시된다. - ls : 디렉토리 안에 있는 리스트들이 출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