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odinit
- editText
- backgroundTint
- cocoapod
- addTextChangedListner
- prolificinteractive/material-calendarview
- RestAPI
- 리눅스
- viewmodel
- DialogFragment
- android
- Button
- Dialog
- PostgreSQL
- springboot
- calendar
- livedata
- Today
- Total
목록android (5)
코코딩딩

editText에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때 자신이 editText를 클릭한 상태라는 것을 잘 알도록 하기 위해 색상을 변경하고, editText의 최소 길이 조건을 달성 했을 때 버튼이 활성화 되게 구현하고자 한다. 안드로이드에서 editText를 보면 기본 밑줄처리가 되어 있는데 이는 아래 코드와 같이 backgroundTint 를 설정해주면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자주 보는 editText들은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클릭상태(Focus)가 되면 활성화 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기 위해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아래와 같이 자바코드에서 backgroundTint를 변경하게 해주면 된다. setOnFocusChangeListener는 유저가 클릭을해 focus상태가 되있는지를 읽는 liste..

달력을 구현하기 위해 직접 코드를 치는 것은 퀄리티와 시간적인 이유로 난이도가 있다고 판단되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달력을 구현하고자 한다. prolificinteractive material-calendarview 사용할 라이브러리는 깃허브에 올라와 있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이다. 자세한 사용방법과 다양한 사용자가 질문한 내용들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기능이 있으면 검색을 하면 어느정도 찾을 수 있다. https://github.com/prolificinteractive/material-calendarview gradle //calendar implementation 'com.github.prolificinteractive:material-calendarview:2.0.1' implementation '..
ViewModel은 화면회전과 같은 동작을 할 때 수명주기에 의해 activity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UI와 비즈니스로직을 분리해 코드를 작성 할 수 있어 프로그램을 유지보수 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이는 MVVM 패턴과 연관이 있는데 깊게 알고 싶긴 하지만 당장 동작하는 코드를 보면서 안드로이드에 대한 기본 이해를 높이고자 코드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Y-uPcwBEEV4 영상을 참고해서 예제를 제작하였다. 1. gradle dependencies 추가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extensions:2.2.0' android 개발자 문서에 있는 ..
MVVM 디자인 패턴에 대해 이해하고 당장 정리하고 싶지만 당장의 실력으로는 깔끔한 정리가 어려울 것 같아 당장 사용할 수 있는 코드들을 연습해보면서 이해하고자 한다. DataBinding 데이터 바인딩은 button이나 editText등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들을 findViewByid()를 이용해 호출하는 것이 아닌 선언적형식으로 데이터소스와 결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이다. databinding을 사용하기 위해선 gradle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해주어야 한다. android { dataBinding { enabled = true } } 또한 layout.xml에 기존 코드들을 으로 감싸고 xmlns 들을 에 넣어준다. activity_main.xml MainActivity package com.ex..
안드로이드에서 Dialog (대화상자)를 구현하는 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처음 검색할 때는 custom dialog 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예제를 찾았는데 Dialog클래스를 직접 사용한 예제였다. 다른 방법이 없나 검색을 해본 결과 android developers에 잘나와 있었다. 이곳에서 말하길 Dialog 클래스는 dialog의 기본 클래스 이지만 직접 인스턴스화 하지말고 AlertDialog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DialogFragment를 같이 사용해 구현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DialogFregment 구현 Fragment package com.example.testdialogfragment; import android.app.AlertDialog; import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