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utton
- livedata
- springboot
- podinit
- Dialog
- viewmodel
- RestAPI
- android
- addTextChangedListner
- DialogFragment
- prolificinteractive/material-calendarview
- editText
- backgroundTint
- PostgreSQL
- cocoapod
- 리눅스
- calendar
- Today
- Total
코코딩딩
[리눅스] tomcat, postgresql 설치하기 - 1 ( 준비하기 ) 본문
리눅스(Ubuntu)에 tomcat을 설치해야 하는 미션이 주어져 오늘은 리눅스에 tomcat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모아서 정리해보고 내일 직접 설치할 예정이다.
* 알아야 될 정보
1) 리눅스 명령어 : 리눅스는 윈도우와 다르게 CLI 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2) 설치할 tomcat 버전 : apache-tomcat-9.0.52.tar.gz (리눅스용)
3) filezilla : 사용할 ftp 프로그램
4) putty : SSH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며 무료로 사용가능한 대중적인 프로그램이다.
5) postgresql : 사용할 db, 리눅스에 설치하는 방법
리눅스 명령어
- pwd : 지금 작업중인 디렉토리가 표시된다.
- ls : 디렉토리 안에 있는 리스트들이 출력된다.
- ls -l : 리스트가 더 상세하게 출력된다.
- cp : 파일을 복사한다.
[ cp file1 file2 ] : file1을 복사해서 file2라는 이름으로 생성한다.
[ cp file1 dir/ ] : dir경로에 file1을 복사한다.
- mv : 파일을 이동한다.
[ mv file dir ] : file을 dir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sudo : 루트권한을 얻어 명령어를 실행한다.
- vi : vi편집기를 실행한다. (파일 스크립트 수정)
[:q] : vi 편집기 종료
[:q!] : 저장하지 않고 종료
[:wq] : 저장하고 종료
- chmod : 파일의 권한 설정
[sudo chmod 755 file] : 파일의 권한을 755로 변경한다.
-tar : 파일들을 묶거나 풀 때 사용한다. (압축과는 약간 다름)
[tar -xvf file.tar.gz] : file.tar.gz 의 압축을 풀어준다.
-mkdir :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tomcat 설치
1. java 설치 여부와 사용할 자바 버전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2. tomcat 다운로드 (ftp를 통해 리눅스 환경에 전송)
3. cd명령어로 tomcat압축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 후 명령어를 이용해 압축을 푼다.
[ tar -xvf apache-tomcat-9.0.52.tar.gz ]
4. mv 명령어로 압축을 푼 tomcat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준다.
[ sudo mv apache-tomcat-9.0.52 /원하는위치 ]
5. 사용할 톰켓이 여러개 이기 때문에 포트번호를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cd 명령어로 conf 디렉토리 에 있는 server.xml 파일로 들어가 Connector port="8080" 부분을 원하는 포트번호로 중복되지 않게 설정해준다.
[vi server.xml] 저장 :wq
* 여기부터는 조사한 것과 다르게 진행될 수 있어 간단하게 정리
6. 다음은 tomcat을 init.d에 자동으로 실행되게 스크립트를 만들어 준뒤 chmod를 통해 실행 권한을 755로 변경한다.
7. 서비스로 등록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sudo update-rc.d tomcay defaults]
filezilla
filezilla 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프로그램으로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호스트 주소와 사용자명 비밀번호 포트번호를 입력하고 tomcat을 전송해 줄 예정이다.
putty
putty는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session에 ip와 포트번호를 입력 해주면 터미널창이 나온다.
SHH는 Secure Shell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프로토콜중 하나이다. 컴퓨터와 컴퓨터가 publicNetwork 를 이용해 통신을 주고 받을 때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PostgreSQL
postgresql은 무료로 운영할 수 있는 오픈소스db이며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ORDBMS)이다.
검색을 통해 알게된 postgresql의 장점은 무료라는 강점이 있고 지금까지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오래되었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우분투 설치방법은 공식페이지에 잘 나와있다.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려면 postgresql-12 와 같이 해주면된다.
https://www.postgresql.org/download/linux/ubuntu/
설치 이후 postgresql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안에 있는 conf 파일을 vi편집기로 불러온다.
[ cd /etc/postgresql ]
[ vi postgresql.conf ]
중간에 있는 Connection Settings 아래에
listen_addresses = 'localhost' = '*' 를 입력해준다. 이후 재시작
[ sudo service postgresql restart ]
이후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권한 접근을 허용해준다.
[ sudo vi pg_hba.conf ]
하단에 host all all 0.0.0.0/0 md5 입력 이후 재시작
[ sudo service postgresql restart ]
비밀번호 초기화 하기
[ sudo su - postgres ]
psql
alter user postgres with password '비밀번호';
\q
위와 같이 해주면 비밀번호를 초기화 해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필요한데 이는 다음 링크를 참조하자
'일단기록 > 매일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android] customdialog, timepicker (0) | 2022.04.26 |
---|---|
[리눅스] tomcat, apache 설치하기 (0) | 2022.04.25 |
[리눅스] tomcat service 등록하기 (0) | 2022.04.22 |
[리눅스] postgresql-12 설치하기 (기본 경로 변경) (0) | 2022.04.22 |
[리눅스] tomcat, postgresql 설치하기 - 2 (0) | 2022.04.20 |